※주의: CFA 시험 범위는 매번 바뀌고, 특히 '25년부터 lv. 3은 여러 트랙으로 갈라집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CFA 홈페이지나 학원에 확인 바랍니다.
CFA를 준비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필자 입장에서는 체계적으로 금융 공부를 해보고 싶었던 것도 있습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AP Economics 배운 이후로 금융 쪽으로 정규 수업을 들은 적이 없었습니다. 책이야 엄청 찾아봤지만... 다독하시는 분들은 공감하시겠지만 체계없이 이 책 저 책 읽으면서 배우는게 참 효율이 떨어집니다. 동일 분야에서 첫 책을 읽으면 100% 다 새로운 내용이지만, 그 다음 책에는 겹치는 내용 빼면 80%, 그 다음 책에서는 또 60%... 그러다가 5권 넘어가면 다 아는 내용이라 읽기가 싫어지더군요.
그런 면에서 CFA는 금융에 어떤 요소들이 있는지 정리해주고, 그 요소들에 대해 얉게나마 빼놓지 않고 알려주는 매우 좋은 교육 시스템입니다. 이 과정에서 남들보다 뭐 대단한 식견이 생기지는 않지만, 적어도 남들이 주장하는 바를 알아들을 수는 있습니다. 운이 좋다면 멍청한 질문을 하는 위기에서 벗어날 수도 있겠죠. 하지만 그 반대 급부로 이제 슬슬 공부가 지겨워지기 시작합니다. 2차부터는 좀 더 본격적으로 개념을 완전히 이해하고 계산하게 되는데, 내가 영 관심없는 과목들도 열심히 봐야하기 때문입니다. 솔직히 주식 투자하는데 현재 환율이랑 예상치만 알면 됐지 외환시장 가격이 어떻게 quote 되는지 알게 뭡니까... 솔직히 일기예보 보면서 나비에-스톡스 방정식이랑 수치해석 이해하고 보는 사람이 몇이나 되겠습니까?
관심없는 과목 공부하긴 싫지만, 그렇다고 공부를 안하면 시험을 통과할 수 없으니 이 악물고 열심히 해봅시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살얼음이 뜬 맥주와 고량주를 섞은 처방이 기가 막히게 먹혔지만, 독자들께서는 이보다 더 좋은 방법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1. 시험 개요
'23년 8월 기준 CFA lv. 2 시험 구성은 아래와 같이 10개 과목이었습니다. lv. 1 시험과 마찬가지로, 다른 과목 공부 순서는 크게 상관없지만 회계는 맨 처음 공부하시고 윤리는 맨 마지막에 공부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여기서 핵심은 "계산 능력"과 "Valuation"입니다.
종목명 | 내용 | 비고 |
Quantitative Methods | - 회귀/시계열 분석 - 머신러닝/빅데이터 |
핵심은 앞에 있는 회계입니다. 반나절 시험 기간 동안 무슨 대단한 컴퓨터 공학 이해를 보겠습니까... 머신러닝/빅데이터는 키워드만 이해하시면 됩니다. |
Economics | - 환율(Arbitrage, Parity 등) - 경제 성장 - 규제 |
성장이나 규제... 딱 봐도 숫자 나올만한게 별로 없어 보이지 않나요? 뒤에 둘은 식만 좀 외우면 됩니다. 환율 계산은 lv. 3에도 나오니 잘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
Financial Statement and Analysis ★ ★ ★ |
- 기업간 회계(자회사, 합병 등) - 퇴직연금 - 다국적기업 회계 - 금융기업 분석 - 재무재표 분석 |
lv 1. 때도 그랬지만 이번에도 제일 중요하고 많이 나옵니다. 지겹겠지만 힘내십쇼.... 회계는 lv. 2가 마지막이거든요. |
Corporate Issuers | - 주주환원 정책(배당, 자사주) - ESG - 자본 비용 - 재무구조 |
ESG는 키워드 정도로만 공부하고 나머지 부분에 집중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valuation이 좀 익숙해지면 아래 있는 equity과목과도 많이 겹칩니다. |
Equity Investments ★ ★ |
- 주식 Valution 모델들 | 기업의 상태에 따른 적합한 valuation 모델이 무엇인지, 그 모델을 어떻게 풀어나갈지에 대해 배웁니다. 이거만 배워도 어디 주식 모임가서 한두 마디 정도는 말할 수 있습니다. |
Fixed Income ★ ★ |
- 채권 Valuation 모델들 - 신용평가 |
주식과 마찬가지로 여러 종류의 valuation 모델과 그 모델에 따라 적정 가격을 산출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옵션이 들어가면 좀 까다롭긴 한데 정해진 알고리즘 따라가는거라 이해 자체가 어렵진 않습니다. |
Derivatives | - 선도계약 Valuation 모델 - 옵션 Valuation 모델 |
여기서 블랙-숄츠 모델이 나옵니다! 이거만 좀 잘 배우면 주변에서 보험이나 전세 사기 등 이야기를 무궁무진하게 풀 수 있습니다. |
Alternative Investment | - 부동산 - 사모투자 - 원자재 |
또 나온 쉬어가는 과목입니다. 다른 과목 열심히 배우셨으면 여기선 사실상 새로 배우는 내용 없이 쑥쑥 넘어가실 수 있습니다. |
Portfolio Management ★ ★ |
- ETF - 요소 분석 - 리스크 관리 - 백테스트 및 시뮬레이션 - 투자 환경 - 거래 비용 |
거래비용 등이 좀 동떨어져서 외우기가 힘듭니다. 수첩에 적어두고 자주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
Ethical and Professional Standards ★ ★ |
- Code of Ethics and Standards of Professional Conduct - GIPS |
문제 많이 풀다 보면 출제자의 의도가 보이기도 합니다. |
더 자세하고 최신 자료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cfainstitute.org/programs/cfa-program/candidate-resources/level-ii-exam
CFA® Program Level I exam | CFA Institute
In this topic, you’ll learn how to describe fixed income securities and their markets, yield measures, risk factors, and valuation measurements and drivers. We’ll also cover calculating yields, values of fixed income securities, the securitization of a
www.cfainstitute.org
상술했지만 CFA 2차 시험의 핵심은 1차에서 배운 자산군들에 대해 정확한 valuation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봅니다. 따라서 (1) 복잡잡한 계산이 많지만, 반대 급부로 (2) 범위가 좁아지고 어느게 시험에 나오겠다 싶은게 더 확실해집니다. 계산 문제가 많아지다보니 시간 분배에도 신경을 쓰셔야합니다. 애매한 문제 푼다고 계속 붙잡고 있으면 뒤에 있는 확실하게 풀 수 있는 문제를 놓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바로바로 풀 수 있는 문제들만 풀고 넘어가고, 애매한 문제들은 나중에 돌아와서 푸는걸 추천 드립니다.
2. 시험 준비
시간은 1차 시험 결과가 나온 1월부터 시험을 본 8월까지 7개월 동안 매일 퇴근하고 2시간 빠짐없이 공부...는 여전히 못했습니다. 1차와 마찬가지로 일주일에 4일 정도 공부했고, 시험 두 달 남겨두고는 발등에 불이 떨어져 주중 2시간, 주말 4시간 정도 공부했습니다. 발등에 불이 잘 안떨어지는거 같으면 (1) 엑셀로 공부 일정을 짜서 얼마나 밀리는지 매일 시각적으로 확인하든가, (2) CFA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모의 시험을 보면 바로 발등이 뜨끈뜨끈해집니다.
1차와도 동일하게 홈페이지 Ecosystem에서 나오는 문제들을 꼭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실제 시험 난이도와 제일 비슷하기도 하고, 문제 난이도에 따라 beginner, intermediate, advanced, expert 식으로 나눠서 본인 수준을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기서 전과목 advanced 이상을 받으시면 시험 합격하시는데는 무리 없을거 같네요.
3. 시험 결과
2차도 1차와 동일하게 2달 정도 걸렸습니다. 제가 1차는 정말 잘 봤는데... 2차는 턱걸이로 합격했더군요. 아마 1차는 준비 기간을 넉넉하게 8개월 잡았고, 2차는 시험 일정 있는대로 7개월 잡다보니 공부시간의 차이인거 같기도 합니다.
1, 2차 시험은 CFA에서 친절하게 전체 시험과 과목별 점수를 제공해줍니다. 1차에서는 저 하늘색 범위 전체가 10% 선 위에 있었는데, 2차는 최소 합격선 위에 간당간당하게 올라갔습니다. 3차는 합격자들에게 점수를 공개하지 않아 확실하진 않지만 체감상으로는 2차가 1~3차 중에서 제일 어려웠습니다. 1차 잘 보신 독자분들께서는 방심하지 마시고 꼭 열심히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투자에 관한 개인적인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CFA 합격 후기(1): 열정 넘치는 입문 (0) | 2025.05.14 |
---|---|
CFA 합격 후기(0): 긴 고통의 시작 (1) | 2025.05.11 |
어떻게 주식 투자로 돈을 벌 수 있을까? (0) | 2022.12.11 |
Market Timing 전략(1) 장단기 금리차와 주가지수의 상관관계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