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요새 점점 투자 블로그보다는 회계 블로그에 가까워진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물론 회계가 투자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것은 맞지만, 그 중요한걸 정리해서 올려놓으라고 회계사들이 있는거 아니겠습니까? 그런고로 이번 포스팅을 통해 재고자산을 마무리지어볼까 합니다.

 

여태까지 다뤘던 재고자산들은 모두 사온 가격 그대로 장부에 적힌다고 가정했었습니다. 하지만 모든 일이 다 그렇듯이, 여기에도 예외가 있습니다. 오늘은 사온 가격 이외에도 시간이 지나면서 재고자산의 가치가 변동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IFRS 기준

 

우리나라 및 전세계적으로 사용하는 IFRS입니다. IFRS의 판단기준은 간단한 편인데, 바로 (1)재고자산을 사온 원가(2) 순실현가치(Net Realizable Value, NRV) 중 낮은 가격으로 선정됩니다. 재고자산을 사온 원가야 영수증에 적힌 그대로 쓰면 되지만 NRV는 조금 더 복잡한데요, 예정 판매가에서 예정 판관비를 뺀 가격입니다.

 

[Figure 1. NRV vs. Historical Cost]

 

일반적인 회계 기준으로는 재고자산을 사온 가격이 NRV보다 작아야하는게 정상입니다. 하지만 판관비가 크게 올랐다거나 재고자산의 가격이 크게 올라 단기적으로 NRV를 뛰어넘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실제 사온 재고자산의 가격을 그대로 인정하기보다는 NRV를 사용해 이 재고자산의 더 실질적인 가치를 추정하여 기록합니다. 재고자산도 유동자산의 일부로 평가되는데, NRV보다 큰 원가를 기록한다면 유동자산이 과하게 높게 평가되는 등 부작용을 제거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렇게 NRV가 재고자산을 사온 원가보다 낮을 경우, 재무상태표에서 재고자산의 가치는 감소하고 그 차액만큼 손익계산서에서 손실로 기록됩니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는 어떨까요? 재고자산의 원가가 하락하거나 판관비가 내려가 다시 재고자산의 원가가 NRV보다 낮아지는 경우, IFRS에서는 재고자산의 복원을 인정합니다. 다시 재고자산의 원가를 반영하는 것입니다.

 

US GAAP 기준

 

여태까지 IFRS의 순한 맛을 보셨으니, US GAAP의 매운 맛을 보실 차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IFRS가 더 적절한 기준인것 같지만.... US GAAP 기준으로 재고자산의 가치는 어떤 재고자산 인식 방법을 택하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1. LIFO 및 Retail Method

 

이 경우 (1)재고자산을 사온 원가(2)시장가 중 더 낮은 가격으로 선정됩니다. 재고자산을 사온 원가야 간단합니다. 말 그대로 사온 가격이기 때문이니다. 하지만 시장가는 그보다는 좀 더 복잡한데, 이 재고자산들이 시장에서 얼마에 팔릴지가 아닌 새로 사올 때 필요한 가격입니다. 이를 replacement cost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 치킨집을 운영하는 제가 기존에 생닭을 마리당 만원에 사왔더라도 이후에 생닭 가격이 마리당 5천원으로 떨어지면 그만큼 재고자산이 축소되어 기록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이게 끝이라면 그렇게 매운 맛도 아니겠죠? Replacement cost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해당 가격 위 아래에 천장과 바닥을 설치합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NRV를 사용하는데요, 아래 그림과 같이 설치됩니다.

 

[Figure 2. Market Cost]

 

이렇게 천장이 설정되는 이유를 설명하자면 바로 금융위나 거래소나 대한민국 3대 거짓말인 "손해보고 판다"를 믿지 않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것과 같이 NRV는 이 재고자산이 시장에서 팔려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수익에 재고자산을 사온 원가를 합친 금액입니다. 이보다 높은 값에서 재고자산을 사와야 한다는 주장은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실제 그런 상황이 발생한다면, 가격을 올리거나 원자재를 사오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NRV를 넘어서는 replacement cost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바닥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NRV는 판매가격에서 생산비와 판관비를 뺀 가격입니다. 여기서 일반적인 수익을 뺀다면 바로 재고자산을 사온 가격이 되겠죠? 이보다 낮은 가격에 재고자산을 다시 사올 수 있다는 주장은 나 혼자서만 도라에몽 주머니마냥 재고자산을 싸게 가져올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회계 및 감사 세계관에서는 도라에몽 주머니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Figure 3. Not Generally Accepted]

 

2. 나머지 재고자산 인식 방법

 

이 경우는 IFRS와 동일하게 (1)재고자산을 사온 원가 (2) 순실현가치(Net Realizable Value, NRV) 중 낮은 가격으로 선정됩니다.  위 IFRS와 마찬가지로 (2) NRV를 택할 시 재무상태표에서 재고자산의 금액은 내려가고 그 차액은 손익계산서에 기록됩니다.

 

하지만 또 IFRS와 차이점이 발생하는데, 판관비가 줄어들거나 재고자산의 원가가 내려가 다시 사온 원가가 NRV보다 작아지더라도 이는 재무상태표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US GAAP 에서는 자산이 한 번 감가됐으면 이를 다시 원복시키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투자자들에게 조금 더 보수적인 숫자를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 경고: 미국 상장사에 투자하지 않으시는 분은 이 포스트를 읽으실 필요 없습니다.

 

저번 포스팅(https://babbling-mewling-spawn.tistory.com/10)에서 재고자산을 계산하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드린 적 있습니다. 재고자산을 계산하는 방법이 여러개라면 회사들을 비교할 때 문제가 생깁니다.

 

[Figure 1. Cost of Goods Sold (CGS)]

 

매출원가(CGS)를 계산 시, 재고자산을 어떻게 설정하냐에 따라 값이 크게 달라집니다. 그렇다면 같은 양의 물건을 팔아도 한 회사에서는 LIFO를 사용하고 다른 회사에서 FIFO를 사용하면 그 둘이 보고하는 경상이익(Gross Profit)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기업이 납부하는 법인세가 달라집니다. 따라서 다른 재고자산 기준을 사용하는 회사들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재고자산 기준으로 통일해야합니다.

 

1. LIFO가 뭐더라....

 

혹시 LIFO가 기억이 나지 않으시지만 기존 포스트를 보시기 귀찮은 분들을 위해 작성했습니다. LIFO란 Last In, First Out의 준말로, 맨 마지막에 들어온 재고자산이 가장 먼저 나간다는 뜻입니다. 한국말로는 선출후입이라고도 하는데요, 주로 재고자산의 신선도를 따질 필요가 없는 정유사들이 많이 선택합니다.

 

[Figure 2. First In, First Out (FIFO)]

 

[Figure 3. Last In, First Out (LIFO)]

 

일반적으로 원자재값은 시간이 지나면서 오르기 마련입니다. 제가 국민학교를 다닐때까지만 해도 500원이면 분식집에서 떡볶이 한 컵을 사먹을 수 있었지만, 2022년 지금 분식집에 500원을 들고가면 따귀 맞기 마련입니다. 이러한 물가 상승 경향과 재고자산이 구입된 가격으로 장부에 기록되는 사실이 합쳐지면, LIFO 재고자산 장부에 적혀있는 재고량은 말도 안되게 낮은 가격으로 기록됩니다. 20년, 30년 전에 샀던 재고자산들의 기록이 계속 남아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 기말 재고자산이 낮게 설정되면서 매출원가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영업이익이 낮게 기록됩니다. 사실상 FIFO를 사용하는 기업과 돈을 똑같이 벌어도 장부 상으로만 영업이익이 낮게 기록되기 때문에 기업끼리의 비교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SEC는 LIFO를 사용하는 회사들에게 FIFO를 사용했다면 어떤 값이 나왔을지를 제출하라고 요구합니다. 이를 LIFO Reserve라고 합니다.

 

2. LIFO Reserve

 

사실 어차피 LIFO reserve 계산해서 써줄꺼면 주석에 FIFO버전도 적어줬으면 좋았겠지만...미국 회계사들도 매우 바쁜가봅니다. LIFO reserve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Figure 4. LIFO Reserve]

 

식은 간단하지만 재고자산을 하나하나 뒤지면서 저걸 계산하는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리고 이걸 재무제표에서 찾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닌데, 멀쩡한 LIFO reserve라는 단어를 안쓰고 돌려 말하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빠르게 찾는 방법은 ctrl F를 누르고 LIFO를 검색하면 엔터키 몇 번 내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예시를 위해 대표적인 LIFO 기업인 Exxon Mobile의 2021 자료를 가져왔습니다.

 

[Figure 5. Inventory Description in Exxon Mobile 2021 Financial Statements]

 

[Figure 6. LIFO Reserve in Exxon Mobile 2021 Financial Statements]

 

보시면 LIFO 효과로 인해 당기순이익이 얼마나 늘어났는지, 그리고 노란색으로 표기된 부분에 LIFO 효과로 인해 재고자산에 끼친 영향이 얼마인지 기록해두었습니다.

 

3. 계산 방법

 

3.1. 세금이 없는 천국

 

예전에 벤자민 프랭클린이라고 미국의 유명한 아저씨가 한 말이 있습니다. 바로 "죽음과 세금은 피할 수 없다" 입니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죽음마저 극복한다고 열심히 찌라시가 도는 21세기에도 세금은 피할 수 없지만, 세금을 피할 수 있는 유토피아가 있다고 가정하고 LIFO를 FIFO로 전환해보겠습니다.

 

[Figure 7. Taxless LIFO to FIFO Transition]

 

위에서 설명드린 것과 같이, LIFO reserve는 LIFO가 FIFO로 전환됐을시 발생하는 재고자산의 증가량입니다. 단순하게 LIFO reserve가 100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1) 기말자산이 100 증가하면서 (2) 매출원가가 100 줄어들고 (3) 당기순이익과 이익유보금이 각각 100씩 늘어나게됩니다.

 

3.2. 세금이 있는 지옥

 

하지만 유토피아가 괜히 유토피아겠습니까? 세상에 없으니 유토피아겠지요. 따라서 세금을 걷는다는 현실적인 가정 아래에서 다시 진행해보겠습니다. 법인세가 얼추 20% 언저리이니 이번 가정에서의 세금은 20%입니다.

 

[Figure 8. LIFO to FIFO Transition with Tax]

 

LIFO를 FIFO로 전환하면서 당기순이익이 늘어났고, 늘어난 당기순이익에 대한 세금이 적용되었습니다.

 

4. 결론

 

이렇게 열심히 계산을 해서 LIFO를 채택한 회사들과 FIFO를 채택한 회사들을 공평하게 비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전환을 하면서 무엇이 바뀌었을까요?

 

4.1. 수익성

 

수익성이 개선됩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것과 같이 LIFO에서는 매출원가가 높게 책정되고, 그 결과로 인해 당기순이익이 낮게 기록됩니다. 이를 FIFO로 전환하면서 수익성이 올라간 것과 같은 효과를 냅니다. 실제로 더 번 것은 없더라도요.

 

4.2. 유동성

 

LIFO는 예전에 구입한 원자재 가격을 반영하기 때문에 재고자산이 낮게 기록됩니다. 이를 FIFO로 전환하면서 재고자산이 최신 가격을 반영하도록 바뀌었기 때문에 유동자산이 늘어납니다. 따라서 유동비율 역시 더 높게 나타나며, 운전자본 또한 늘어나게 됩니다.

 

4.3. 회전율

 

FIFO를 택하나 LIFO를 택하나 회사에서 당해 구입한 재고자산의 값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재고자산이 높게 변하기 때문에 재고자산 회전률이 낮아지고, 반대로 재고자산 보관일은 늘어납니다.

 

 

 

 

저번 포스팅(https://babbling-mewling-spawn.tistory.com/9)을 통해 비용의 전반적인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재고자산에 대한 내용을 다뤄보고자 합니다.

 

회계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수익과 비용의 대응원칙(Matching Principle)입니다. 따라서 기업이 제품을 팔았을 때 받은 대금 중 얼마만큼이 원가 비용으로 처리할지를 고민해야합니다. 기본적인 원칙은 바로 기업이 들고있는 재고 중, 어떤 재고가 나갔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1. 개별법(Specific Identification)

 

만약 회사가 구매 후 남아있는 재고와 판매된 상품을 완벽하게 인식할 수 있다면 개별법을 사용합니다. 내가 1월에 무엇을 샀고, 2월에 무엇을 팔았고, 3월에 다시 무엇을 샀는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 방법은 동일한 농산품이나 공산품보다는 개별 자산 판매에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서 중고차 딜러가 다루는 중고차들은 동일한 품목이 아닙니다. 같은 연식의 같은 모델이라도 누가 어떻게 탔냐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죠. 따라서 딜러는 어떤 차가 들어왔고 어떤 차가 판매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보유해야하며, 이와 같이 자동차, 조선소 등의 회사에 적합한 방법이 개별법입니다.

 

[Figure 2. Car Sales]

 

반대로 쌀을 파는 농부나 볼트와 너트를 파는 철공소를 생각해볼까요? 하나의 논에 한 종류의 씨를 뿌려서 수확한 벼들은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이 포대나 저 포대나 그게 그거란 말이죠. 이런 경우, 개별법을 사용하는건 큰 의미가 없습니다. 당장 농부도 트렉터가 수확하던 날 10시 20분에 수확한 벼와 10시 25분에 수확한 벼의 차이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 아래와 같이 선출선입,  후입선출, 또는 가중평균비용 방법을 사용하게 됩니다.

 

    1. 선출선입(First In, First Out, FIFO)

 

가장 직관적인 방법입니다. 먼저 들어온 재고가 먼저 나간다고 가정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음식 등 장기 보관이 어려운 제품을 파는 기업들에게 유용합니다. 치킨집에서 직원들이 열심히 닭을 튀겨도 하루가 지나면 모두 폐기처분해야하니, 손님이 치킨을 주문할 때마다 튀긴지 가장 오래된 치킨을 제공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입니다.

 

    2. 후출선입(Last In, First Out, LIFO)

 

아마 한국 시장에만 투자하시는 독자분들께서는 근 10년간 거의 보지 못한 내용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국제회계기준(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 IFRS)에 따라 국내 상장사들은 LIFO를 사용하지 않기로 정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미국 회계 기준(U.S.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 US GAAP)에서는 여전히 LIFO를 제한적이나마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 회계 방식에 따르면 가장 나중에 들어온 재고자산을 가장 먼저 판매합니다. 종이컵을 판매한다면, 종이컵을 위로 쭉 쌓아올리다가 주문이 들어오면 가장 위에 있는 종이컵부터 판매하는 식입니다. 주로 석탄이나 석유 등 장기 보관 용이한 원자재를 판매하는 기업들이 이러한 회계 방식을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이 LIFO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많은 기업들, 특히 비상장기업들이 해당 회계 방식을 선호하는데, 바로 장부 상 반영되는 수익을 낮춰 법인세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 포스팅(https://babbling-mewling-spawn.tistory.com/9)에서 사용했던 식을 하나 가져오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순서에 따라 법인세 절감의 마법이 시작됩니다.

 

    (1) 법인세는 회사의 장부 상 수익에 비례한다.

    (2) 수익은 매출에서 매출원가를 제함으로 계산된다.

    (3) 따라서 매출원가를 늘릴수록 수익은 줄어들고, 그에 비례해 법인세도 낮아진다.

 

여기서 법인세를 덜 내기 위한 회사의 눈물겨운 몸부림이 시작됩니다. 일반적으로 물가는 시간이 지날수록 비싸집니다. 이는 기업이 구매하는 원자재도 예외가 아니며, 디플레이션 같은 예외적인 현상을 제외하면 10년 전 구매한 재고가 1년 전 구매한 재고보다 더 쌉니다. 이 때, 가장 최근에 비싸게 구매한 원자재를 가장 먼저 매출로 처리하는 LIFO의 재고에는 오래 전, 싸게 구매한 원자재들만 남게 됩니다. 이는 기말 재고자산의 규모를 축소시키며, 순차적으로 매출원가를 늘려 장부 상 수익을 감소시킵니다.

 

한 10년 전 쯤, IFRS 규정이 변화되고 LIFO가 한국 상장사에서 퇴출되었는데요, 그 때 기사를 하나 가져오겠습니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10032935091

 

정유업계 'IFRS發 어닝 서프라이즈' 온다

정유업계 'IFRS發 어닝 서프라이즈' 온다, 재고 평가법 바뀌며 이익급증 효과 GS칼텍스 작년 순익 50% 더 늘어 SK에너지·에쓰오일도 내년 도입

www.hankyung.com

 

 

넵, 위에 말씀드린 내용과 같이 기존 LIFO를 사용하던 한국 정유사들이 LIFO를 폐기하면서 장부 상 수익이 늘어나고, 이로 인해 법인세 또한 크게 늘었다는 내용입니다.

 

이러한 회계 방식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장기적인 기업 실적을 검토하였을 때, 사실 바뀐 것이라고는 회계 방식밖에 없지만 회사가 대단한 변화를 이루어낸 것으로 착각할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께서는 회사 실적을 검토하실 때 이러한 회계 방식을 꼭 눈여겨 보시길 바랍니다.

 

    3. 가중평균법(Weighted Average Cost)

 

이 방식에서는 어떠한 재고가 먼저 나가는지에 대한 아무런 가정이 없습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재고의 평균값을 구한 후 이를 모든 판매된 제품에 적용합니다.

 

가장 편리하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회계 방식입니다. 당장 21년 삼성전자의 사업보고서를 살펴볼까요?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20308000798 

 

삼성전자/사업보고서/2022.03.08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dart.fss.or.kr

이렇게 쉬운 방법을 두고 왜 위의 복잡한 방법을 사용했을까요? 수익과 비용의 대응원칙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그 전까지 기술의 발전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요즘은 기술이 많이 좋아져서 재고자산을 실시간으로 트래킹할 수 있지만, 회계라는 학문이 만들어지는 시기에는 자동 트레킹 시스템이나 컴퓨터가 없었습니다. 기말 재고자산과 기초 재고자산의 차이만을 가지고 회계 장부를 작성하다보니 위와 같은 가정이 필요해졌던 것입니다.

 

이렇게 같은 실적이지만, 어떠한 회계 방식을 택하냐에 따라 손익계산서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구독자 여러분들께서는 회사 실적을 검토하실 때 해당 부분을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혹은 회사 운영자이시라면, 해당 부분을 최대한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