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에도 한 번 언급한 것 같지만 영원한 것은 없습니다. 제가 초등학생 때 부모님이 차를 사신게 아직도 기억이 나는데, 쌍용차의 마지막 역작 무쏘였습니다.

 

[Figure 1. 무쏘]

 

그 전까지는 언덕만 만나면 빌빌 기어가는 경차를 탔었는데, 새 차는 정말 혁신적이었습니다. 벤츠에서 받아온 엔진으로 쭉쭉 잘 나가기도 했고, 기존 닭다리 창문 개폐장치 대신 버튼으로 움직이는 창문 개폐 장치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대단한 차도 시간의 시험을 이기지 못했습니다. 노후화된 엔진은 예전만큼 힘을 내지 못했고, 언덕만 만나면 한숨만 나오게 되더군요. 결국 제가 대학생 때 사실상 범퍼카처럼 사용하다가 중고차로 매각했습니다.

 

이렇게 고정자산 역시 시간이 지나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으면 폐기하거나 매각하게 됩니다. 매각할 예정이라면 매각예정자산(Long-Lived Asset Held for Sale)으로 변환되며, 매각이나 폐기 후에는 제거(Derecognition)을 거칩니다.

 

매각예정자산(Long-Lived Asset Held for Sale)

 

더 이상 사용이 어렵다고 판단된 자산은 기존 고정 자산에서 매각예정자산으로 재분류됩니다. 그리고 그 순간부터 감가상각이 멈춥니다. 이미 장부가치가 잔존가치 아래로 떨어져서 더 이상 감가시킬 가치도 없습니다. 자산은 바로 손상 여부(https://babbling-mewling-spawn.tistory.com/40)를 확인하여 해당 가치에 고정됩니다.

 

매각예정자산으로 분류되면 바뀌는게 또 하나 있는데, 바로 가치 복구가 가능해진다는 것입니다. 기존 포스팅에서 자산 가치 복구는 IFRS에서만 제한적으로 가능하다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매각예정자산으로 분류되면 이 제한적인 복구 가능이 IFRS만이 아니라 U.S. GAAP에서도 가능합니다.

 

제거(Derecognition)

 

무쏘를 팔 수도 있고, 혹은 폐차장으로 바로 보낼 수도 있습니다. 어찌됐든 이제 회사에는 없는 자산이니 재무상태표에서 해당 자산을 제거해야합니다. 먼저 자산을 매도했을 경우를 보겠습니다. 발생주의 회계(https://babbling-mewling-spawn.tistory.com/2)를 기억하시나요? 무언가가 나가면 그에 해당(Matching)되는 반대급부가 들어와야 합니다. 매각예정자산을 팔면서 얻은 대금이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에 유입됩니다.

 

  • 재무상태표: 해당 자산에 해당되는 장부가치가 삭제되고, 그에 해당되는 현금이나 매출채권이 기입됩니다. 
  • 손익계산서: 해당 자산의 장부가치와 판매대금의 차이만큼이 손실이나 이익으로 기록됩니다.

 

만약에 무쏘를 팔지 않고 폐차장으로 보냈다면 어떻게 될까요? 폐차장에서 돈을 줄 수도 있지만, 이번에는 그냥 공짜로 가져갔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런 경우 재무상태표에서의 장부가치는 삭제되고, 손익계산서에는 그 장부가치만큼이 손실로 기록됩니다.

 

그렇다면 마지막으로 낡은 무쏘를 전등과 교환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때는 전등의 장부가치와 낡은 무쏘의 장부가치의 차이만큼이 손익계산서에 손실이나 이익으로 기록되며, 재무상태표에서는 기존 장부가치가 삭제되고 새로운 장부가치가 기록됩니다.

+ Recent posts